안녕하세요, 게으른 사부작이입니다!
오늘은 디자인 시스템 시리즈의 중요한 주제, 바로 디자인 시스템 문서화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지금까지 디자인 시스템을 설계하고, Figma로 구현하고, 개발자와 협업하는 과정을 배웠으니, 이제 그 모든 작업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공유할 차례예요. 문서화는 디자인 시스템을 팀원들과 공유하고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단계인데, 저도 문서화의 중요성을 뼈저리게 느낀 경험이 있답니다. 그럼 저와 함께 문서화의 필요성과 실무적 방법을 알아볼까요?
문서 없이 팀원과 싸운 적이 있어요
제가 디자인 시스템을 처음 만들 때의 일이에요. 열심히 Figma에서 버튼, 컬러, 타이포그래피를 정리해서 팀원들과 공유했는데, 문서화를 하지 않았어요. "Figma 파일만 있으면 되지 않나?"라는 생각이었죠. 하지만 문제가 생겼어요. 한 팀원이 "이 버튼은 언제 쓰는 거야?" 하고 물었고, 다른 팀원은 "이 색상 코드가 뭐지?" 하면서 계속 저에게 물어보더라고요. 심지어 개발자가 "네이밍 규칙이 뭐였더라?" 하고 다시 확인하러 오는 바람에 같은 설명을 몇 번이나 반복해야 했어요. 결국 한 팀원이 "문서가 없으니 매번 물어보게 된다"라고 불만을 터뜨리면서 팀 분위기가 살짝 어색해졌죠. 저는 "내가 잘못했구나…" 하고 반성했어요. 문서화가 없으면 팀원들과의 소통이 어려워지고, 같은 질문이 반복되면서 효율이 떨어진다는 걸 깨달았죠. 여러분도 문서 없이 팀원과 오해가 생긴 적 있나요? 저는 그 이후로 문서화의 중요성을 정말 깊이 느끼게 됐어요.
문서화의 중요성과 장점
디자인 시스템 문서화는 디자인 시스템의 모든 요소를 체계적으로 정리해서 팀원들과 공유하는 과정이에요. 문서화가 중요한 이유는 크게 세 가지예요:
- 소통 효율성: 문서가 있으면 팀원들이 "이 버튼은 뭐야?" 하고 물어볼 필요 없이 스스로 확인할 수 있어요. 저는 문서화 이후로 반복 질문이 확 줄었어요.
- 일관성 유지: 문서화된 가이드를 보면 모두가 같은 규칙을 따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버튼 네이밍 규칙을 문서로 정리해 놓으면 누구나 btn-primary를 사용하죠.
- 유지보수 용이성: 프로젝트가 커질수록 디자인 시스템도 변화하는데, 문서가 있으면 변경 사항을 쉽게 업데이트하고 공유할 수 있어요.
저는 문서화를 시작하면서 팀원들과의 소통이 훨씬 원활해지고, 작업 효율도 높아지는 걸 느꼈어요. 이제 문서화를 어떻게 할지, 어떤 도구를 사용할지 구체적으로 알아볼게요.
문서화 도구 소개: ZeroHeight와 Notion
문서화를 할 때는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는 게 중요해요. 제가 사용해 본 도구 중 추천할 만한 두 가지, ZeroHeight와 Notion을 소개해볼게요.
1. ZeroHeight
ZeroHeight는 디자인 시스템 문서화에 특화된 도구예요.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플랫폼이라 협업에 정말 유용하죠. ZeroHeight의 장점은 Figma 파일과 연동해서 스타일과 컴포넌트를 자동으로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이에요.
사용법 예시:
- ZeroHeight에 가입하고 새 프로젝트를 생성해요.
- Figma 파일을 연동해서 컬러 스타일, 텍스트 스타일, 컴포넌트를 가져와요. 예를 들어, color-primary: #007BFF, btn-primary 같은 요소를 자동으로 표시.
- 각 요소에 대한 설명을 추가해요. "Primary 버튼은 주요 행동(예: 확인, 구매)에 사용하세요" 같은 가이드 작성.
- 팀원들과 링크를 공유해서 실시간으로 확인하도록 안내해요.
저는 ZeroHeight를 사용하면서 Figma와의 연동 덕분에 문서화 시간이 절반으로 줄었어요. 개발자도 ZeroHeight에서 코드 스니펫을 바로 볼 수 있어서 "이 버튼 스타일 어떻게 적용해?" 같은 질문이 확 줄더라고요. 다만, 무료 플랜은 기능이 제한적이니 팀 프로젝트라면 유료 플랜을 고려해 보세요.
2. Notion
Notion은 더 유연한 문서화 도구예요. 디자인 시스템뿐 아니라 팀의 다른 문서도 함께 관리할 수 있어서 다목적으로 활용하기 좋아요. 저는 Notion의 테이블과 템플릿 기능을 활용해서 디자인 시스템을 정리했어요.
사용법 예시:
- Notion에서 "디자인 시스템"이라는 새 페이지를 만들어요.
- 테이블을 추가해서 컬러, 버튼, 타이포그래피를 정리해요. 예를 들어:
- 컬러: color-primary | #007BFF | 주요 행동(버튼, 링크)
- 버튼: btn-primary | 48px x 48px | 주요 행동
- 텍스트: H1 | Noto Sans Bold, 24px | 제목
- 각 섹션에 세부 설명을 추가해요. "Primary 버튼은 확인, 구매 같은 주요 행동에 사용하며, 색상은 color-primary를 적용하세요."
- 팀원들을 초대해서 실시간으로 협업하도록 설정해요.
Notion은 무료 플랜으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어서 초보자에게 추천드려요. 저는 Notion으로 문서화를 시작하면서 팀원들이 "이 버튼 언제 쓰는 거지?" 같은 질문 없이 바로 가이드를 참고하더라고요. 테이블 형식으로 정리하니까 한눈에 보기에도 편리했어요.
문서화 가이드 작성법: 예시와 팁
문서화를 할 때 중요한 건 구체적이고 직관적인 가이드를 작성하는 거예요. 제가 실제로 작성한 가이드를 예시로 보여드릴게요:
- 컬러 가이드:
- color-primary | #007BFF | 주요 행동(버튼, 링크)에 사용. 신뢰감 전달.
- color-warning | #FF0000 | 경고 행동(삭제, 오류)에 사용. 주의 강조.
- 버튼 가이드:
- btn-primary | 48px x 48px (3rem) | color-primary | 주요 행동(확인, 구매).
- btn-secondary | 48px x 48px (3rem) | color-secondary | 보조 행동(취소).
- 타이포그래피 가이드:
- H1 | Noto Sans Bold, 24px | 메인 제목. 페이지 상단에 사용.
- Body | Noto Sans Regular, 16px | 본문 텍스트. 일반 정보 전달.
가이드를 작성할 때 몇 가지 팁을 드릴게요:
- 구체성: "파란 버튼" 대신 "btn-primary, #007BFF"처럼 정확한 이름과 값을 명시.
- 사용 목적: 각 요소의 사용 목적을 명확히 설명. "주요 행동에 사용" 같은 문구 추가.
- 시각적 보조: Figma 스크린샷이나 예시 UI를 첨부해서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도움.
- 업데이트 관리: 문서에 "최종 업데이트: 2025년 4월 20일" 같은 날짜를 추가해서 최신 상태 유지.
저는 처음엔 가이드를 너무 간단하게 작성해서 팀원들이 이해하기 어려워했어요. 하지만 구체적으로 작성하고 예시를 추가하니까 훨씬 명확해졌다는 피드백을 받았어요.
실무 팁: 문서화 유지와 공유
문서화를 할 때 실무 팁 몇 가지를 더 드릴게요. 먼저, 정기적인 업데이트가 중요해요. 디자인 시스템은 프로젝트 진행 중에 바뀔 수 있으니, 변경 사항이 생길 때마다 문서를 업데이트해야 해요. 저는 Notion에서 변경 로그 페이지를 따로 만들어서 "2025년 4월 20일: btn-primary 색상 변경" 같은 기록을 남겼어요.
또, 공유 접근성을 고려하세요. ZeroHeight나 Notion으로 문서를 공유할 때, 팀원 모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링크를 공유하고, 읽기/편집 권한을 적절히 설정하세요. 저는 처음엔 권한 설정을 잘못해서 팀원이 문서를 못 보는 일이 있었는데, 권한을 다시 확인하고 나니 문제가 해결됐어요.
문서가 완성됐으니, 유지보수도 배워볼까요?
디자인 시스템 문서화를 해보니, 팀원들과의 소통이 훨씬 쉬워지고 일관성도 유지되더라고요. ZeroHeight와 Notion 같은 도구를 활용하니까 문서화 과정도 훨씬 효율적이 됐어요. 문서가 완성된 걸 보니, 이제 디자인 시스템을 더 오래 지속 가능하게 관리하는 방법도 고민해 봐야겠더라고요. 다음 포스트에서는 디자인 시스템의 유지보수와 업데이트 전략을 알아볼게요. 여러분은 어떤 도구로 문서화를 해보셨나요? 저는 Notion의 테이블 기능이 정말 유용하더라고요. 댓글로 여러분의 경험도 공유해 주세요!
'오늘도 사부작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을 위한 경량 디자인 시스템 (0) | 2025.04.21 |
---|---|
디자인 시스템 유지보수와 업데이트 (0) | 2025.04.21 |
개발자와 협업하기 위한 디자인 시스템 (0) | 2025.04.21 |
Figma로 디자인 시스템 만들기 (0) | 2025.04.21 |
디자인 시스템 설계 시작하기 : 첫 단계 (0) | 2025.04.10 |
댓글